그렇게 하겠습니다
- 이기철
내 걸어온 길 뒤돌아보며
나로 하여 슬퍼진 사람에게 사죄합니다
내 밟고 온 길
발에 밟힌 풀벌레에게 사죄합니다
내 무심코 던진 말 한마디에 상처받은 이
내 길 건너며 무표정했던 이웃들에
사죄합니다
내 작은 앎 크게 전하지 못한 교실에
내 짧은 지식 신념 없는 말로
강요했던 학생들에 사죄합니다
또 내일을 맞기 위해선
초원의 소와 순한 닭을 먹어야 하고
들판의 배추와 상추를 먹어야 합니다
내 한 포기 꽃나무도 심지 않고
풀꽃의 향기로움만 탐한 일
사죄합니다
저 많은 햇빛 공으로 쏘이면서도
그 햇빛에 고마워하지 않은 일
사죄합니다
살면서 사죄하면서 사랑하겠습니다
꼭 그렇게 하겠습니다
- 시집, <가장 따뜻한 책>(민음사, 2005)
* 감상 : 이기철 시인.
1943년 1월, 경남 거창군 가조면 석강리에서 태어났습니다. 영남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하고 1986년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거창의 옛 지명인 ‘아림’을 기리는 <제1회 아림예술상>에서 한글 시 백일장 부문에서 시 ‘새’가 장원으로 뽑혔으며, 대학 2학년 때인 1963년에는 경북대학교가 주최한 <전국대학생문예작품 현상공모>에서 시 ‘여백시초’가 당선되어 당시 심사위원이었던 김춘수 시인을 만났습니다. 1972년 문덕수 시인이 주관하고 있던 <현대문학>에 ‘5월에 들른 고향’ ‘너와 함께’ ‘향가시’ 등의 시가 추천 완료됨으로써 등단하였습니다. 이후 첫 시집 <낱말추적>(중외출판사, 1972)를 시작으로, <청산행>(문장사, 1982), <전쟁과 평화>(문학과지성, 1985), <우수의 이불을 덮고>(민음사, 1988), <내 사랑은 해지는 영토에>(문학과비평사, 1989), <시민일기>(장시집)(우리문학사, 1991), <지상에서 부르고 싶은 노래>(문학과지성사, 1993), <열하를 향하여>(민음사, 1995), <유리의 나날>(문학과지성, 1998), <내가 만난 사람은 모두 아름다웠다>(민음사, 2000), <스무살에게>(수밀원, 2004), <가장 따뜻한 책>(민음사, 2005), <정오의 순례>(애지, 2006), <사람과 함께 이 길을 걸었네>(서정시학사, 2008), <잎, 잎, 잎>(서정시학사, 2012), <나무, 나의 모국어>(민음사, 2012), <별까지는 가야한다>(육필시집)(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흰 꽃 만지는 시간>(민음사, 2017) 등의 시집을 냈고, 에세이집 <손수건에 싼 편지>(모아드림, 1999), <쓸쓸한 곳에는 시인이 있다>(문학동네, 2005), <영국문학의 숲을 거닐다—동서양의 베를 짜다>(기행 에세이집)(푸른사상사, 2011), 비평서로 <시를 찾아서>(심상사, 1990), <인간주의 비평을 위하여>(문학과지성사, 1998), 그리고 소설집 <땅 위의 날들>(자전소설)(민음사, 1994), 학술서로 <시학>, <분단기 문학사의 시각> 등을 냈습니다. 대구 시인협회장과 한국어문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김수영문학상(1993), 후광문학상(1993), 시와시학상(2000), 대구광역시문화상 문학 부문(2002) 등을 수상했습니다. 1978년 포항전문대학 전임강사를 시작으로, 1980년 마산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1981년 김춘수 시인이 영남대학교를 그만두면서 그 후임으로 자리를 옮겨 2008년 2월 정년퇴임 때까지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영남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습니다. 2003년 청도군 각북면 덕촌리에 [여향예원]을 세우고 ‘시 가꾸는 마을’을 운영하며 여전히 시작 활동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시인의 이력을 일별해 보면 그동안 참 많이도 글을 썼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는 자신이 왜 글을 쓰느냐는 질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한 적이 있습니다.
‘시를 쓰는 자신을 자성적으로 돌아보지 않는 시인은 결코 좋은 시를 쓸 수 없으리라. 그러므로 시인은 끝없이 자신에게 말을 걸어야 한다. 끝없이 자신이 걷고 있는 길에 대해 물어야 한다. 이 길이 내 길인가를’ (중략) ‘시의 길은, 끝없이 앞으로만 내닫는 진전의 길이 있고, 반대로 지나온 길을 되돌아보며 성찰하는 길이 있다. 서정주 시집 <학이 울고 간 날의 시>를 읽는다. 梅月堂이 나뭇잎에 시를 써서 냇물에 띄웠다는 구절이다. 나는 그 말에 찔렸다. 나는 지금까지 수없는 자연시를 쓰고 나무와 풀꽃에 대해 썼지만 나뭇잎에 시를 써서 물에 띄워 보내지는 못했다. 그래서 쓴다’
오늘 감상하는 시는, 바로 이런 시인의 자성과 성찰의 목소리가 또렷이 들리는 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 걸어온 길 뒤돌아보며/ 나로 하여 슬퍼진 사람에게 사죄합니다/ 내 밟고 온 길 발에 밟힌 풀벌레에게 사죄합니다/ 내 무심코 던진 말 한마디에 상처받은 이/ 내 길 건너며 무표정했던 이웃들에/ 사죄합니다’로 시작되는 그의 자성의 목소리는 ‘살면서 사죄하면서 사랑하겠습니다 / 꼭 그렇게 하겠습니다’라는 다짐으로 마무리됩니다. '꼭 그렇게 하겠습니다'는 마지막 문장의 여운이 무척 깁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점점 명확해지는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서로 아옹다옹 미워하며 싸우는 것보다는 서로 사랑하고 배려하면서 둥글둥글 살아갈 때가 훨씬 마음도 편하고 하루 삶이 훨씬 더 행복해진다는 평범한 사실입니다. 직장에서 일하는 동료들끼리 아무것도 아닌 일을 가지고 한 사람을 ‘왕따’ 시킨다든지 또 학연 지연 혈연을 따져가면서 호불호를 따지는 모습을 보면, 이제는 그 자리를 슬쩍 피하고 싶어집니다. 잘잘못을 따지기 보다는 조금 부족하면 그 부족한 면을 메워주면서 그가 그것 때문에 아예 긴 삶의 마라톤 경주에서 낙오하지 말기를 격려해 주고, 그의 장점을 오히려 더 칭찬하면서 응원해주고 싶어집니다.
며칠 전, 페이스 북에 글을 올린 대학 동기 친구는 자신이 이렇게 변해가는 모습을 ‘느긋한 나이’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표현을 했습니다. 공동 주택 주차장에 새워 둔 새로 구입한 차를 누군가가 연 사흘에 걸쳐 흠집을 내 놓고 아무 메모도 없이 사라져 버린 당황스런 일을 당한 후 그가 예전 같지 않게 유연하게 대처하는 자신의 모습을 잔잔하게 쓴 감동적인 글이었습니다. 이제 환갑을 넘긴 ‘느긋한 나이’가 되었으니 한결 여유 있어졌다는 친구의 그 표현에 백번 공감이 갔습니다.
아마도 시인이 이 시를 썼을 때도 바로 환갑을 맞은 나이였을 것입니다. 2005년도에 상재된 시집에 실렸으니 그 한 두 해 전에 쓴 시가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시인이 ‘또 내일을 맞기 위해선/ 초원의 소와 순한 닭을 먹어야 하고/ 들판의 배추와 상추를 먹어야 합니다’라고 우리가 살아내야 하는 생의 순리를 담담하게 표현했지만, 사실 이 말은 자기 몸뚱이 하나 살리기 위해서 ‘초원의 소와 순한 닭을 먹어야 하고/ 들판의 배추와 상추를 먹어야’하는 인간존재 자체가 참으로 슬프고 죄스러운 것임을 토로한 절규입니다. 그리고 하물며 이런 원초적으로 슬픈 존재인 인간이, ‘공으로 쏘이는 햇살’과 ‘한 포기 꽃나무도 심지 않고’ 그 향기로움만 탐하며 고마워하지도 못한다면 그건 짐승보다 더 못한 존재임을 스스로 고백하고 자성하는 표현입니다. ‘이제 사랑하며 살겠다’고 다짐하고 맹세하는 것은 앞으로 시인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 그것 밖에 없다고 말하는 '고해성사'인 듯합니다.
외람되지만 현재 진행형인 이야기 하나로 자랑질을 좀 해야겠습니다.
한 달 전부터 코로나19가 다시 기승을 부리면서 2학기 정상 개강이 불투명해지는 등 대학가에는 다시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지고 있었습니다. 그 때 광주광역시에서 지역에 있는 대학교에 생활관(기숙사)에 입사할 젊은 학생들에게 백신을 우선 접종해 주겠다는 공문을 보내왔습니다. 전 국민이 백신을 접종하는 과정에서 젊은 층이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을 때 이렇게 선제적으로 적극적인 행정 조치를 취해 준 광주시의 움직임은 2학기 학사 운영을 계획하는 대학의 관계자들에게는 감동을 주는 일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특히 전국대학교 생활관관리자협의회 회장직을 맡고 있는 저의 입장에서는 마치 든든한 우군을 얻은 듯 감사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주말을 지나 첫 출근한 월요일 아침, 협의회 이름으로 광주시에 고마움과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고 급하게 공문을 보내드렸더니, 감사하게도 긍정적인 답신을 보내왔습니다. 결국 지자체장에게 감사패를 받는 게 아니라, 일개 보잘 것 없는 협의회 회장 이름으로 오히려 감사패를 수여하는 초유의 재미난 자리가 마련된 것입니다. 칭찬하고 또 격려하는 작은 생각과 마음으로 인해 ‘훈훈한 이야기 하나'가 만들어진 것 같아 너무 행복합니다. 다음 주 수요일에, 이 일을 위해서 멀리 광주를 한번 다녀오기로 했습니다.
‘이 세상 작은 이름 하나라도/ 마음 끝에 닿으면 등불이 된다’고 노래한 시인의 또 다른 시 하나를 감상하면서 오늘 글을 맺으려고 합니다. ‘내 쌀 씻어 놀 같은 저녁밥 짓’는 마음으로 일을 계획하고 시행한 '그 착한 이름 하나' 불빛에 씻어 ‘감사패’에 올려놓고 감사와 고마움의 마음으로 등불을 밝힙니다. - 석전(碩田)
작은 이름 하나라도
- 이기철
이 세상 작은 이름 하나라도
마음 끝에 닿으면 등불이 된다
아플 만큼 아파 본 사람만이
망각과 폐허도 가꿀 줄 안다
내 한 때 너무 멀어서 못 만나 허무
너무 낯설어 가까이 못 간 이념도
이제는 푸성귀 잎에 내리는 이슬처럼
불빛에 씻어 손바닥 위에 얹는다
세상은 적이 아니라고
고통도 쓰다듬으며 보석이 된다고
나는 얼마나 오래 악보 없는 노래를 불러왔던가
이 세상 가장 여린 것,
가장 작은 것 이름만 불러도 눈물겨운 것
그들이 내 친구라고
나는 얼마나 오래 여린말로 노래했던가
내 걸어갈 동안은 세상은 나의 벗
내 수첩에 기록되어 있는 모음이 아름다운 사람의 이름들
그들 위해 나는 오늘도 한 술 밥, 한 쌍 수저
식탁 위에 올린다
잊혀지면 안식이 되고
마음 끝에 닿으면 등불이 되는
이 세상 작은 이름 하나를 위해
내 쌀 씻어 놀 같은 저녁밥 지으며
- 시집, <별까지는 가야한다>(육필시집)(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아침에 읽는 한 편의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부끄러워해야 할 것은 - 신경림 (0) | 2021.08.18 |
---|---|
울음통 - 최서림 / 허향숙 (0) | 2021.08.11 |
감자를 먹습니다 / 선물 - 윤이산 (0) | 2021.07.28 |
그 여자, 기왓장 같은 여자 송윤옥 - 이은봉 (0) | 2021.07.21 |
신세계 / 독자에게 온 편지 - 아담 자가예프스키 (0) | 202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