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隨筆 · 斷想

어는 독일인이 쓴 한국인에 대한 감동적인 글

석전碩田,제임스 2007. 4. 27. 16:13

註 : 이 글은 "어느 독일인이 쓴 한국인"이라는 제목으로 2001년 10월에 주독일 한국대사관 홈페이지(http://www.koreaheute.de/spez/1001/Sp002h.htm)에 올려져 있던 글입니다. '슈테판 뮬러(Stefan Müller)라는 독일인 이름으로 씌여진 이 글은 자신의 개인 홈페이지에 올린 글인데 일본인을 원숭이라고 표현했다는 문제로 일본 유학생 중 한 명이 일본의 어느 게시판에 올렸답니다. 그 후 그 독일인의 사이트는 해킹당하고 작성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당해 일본의 우익들로부터 테러에 가까운 협박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국인 유학생도 그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결국 한국어로 그 사이트의 문제가 된 글을 번역해서 올린 것이라고 합니다.

당신은 감동적인 이야기를 좋아하는가?  이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지도를 펴기 바란다. 아마 당신이 알고 있을 중국과 일본 사이에 한반도가 있고 그곳에 한국이라는 나라가 보일 것이다. 이야기는 이 조그마한 나라의 어느 마라토너가 중심에 있다.
이 나라는 지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국과 일본이라는 두 무력에 의존하는 나라 사이에서 놀랍게도 2000년간 한 번도 자주성을 잃어 본적이 없는 기적에 가까운 나라이다. 그리고 이럴 경우 이 한국인들은 나라 대신에 [민족]이라는 표현을 쓰기를 좋아한다.

어느 여름날 우연히 본 한장의 사진 때문에 나는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의 굉장한 이야기에 빠져 들고 말았다.베르린 올림픽때에 일본인이 1위와 3위를 차지하였다. 2위는 독일인이었다. 그런데 시상대에 올라간 이 두 일본인 승리자들의 표정.... 이것은 인간이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슬픈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 불가사이한 사진... 무엇이 이두 승리자들을 이런 슬픈 모습으로 시상대에 서게했는가?

과거도, 그리고 현재도 가장 인간적인 유교라는 종교가 지배하는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은 이웃한 일본인(죽음을 찬미하고 성에 탐닉하는)에 대해 [영리한 원숭이]에 불과하다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불행히도 이 인간적인 품위를 중시하는 자부심 강한 민족이 이 원숭이들에게 [강간]이라고 표현할 수 밖에 없는 침략,즉 식민지로 떨어지고 말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당시 대부분의 불행한 식민지의 청년들은 깊은 고뇌와 번민에 개인의 이성을 희생당하고 말았고,[손]과[남]이라고 하는 두 청년들 역시 예외일 수는 없었다. 이 두 청년들은 달림으로서 아마도 자신들의 울분을 표출해야만 했는지도 모른다. 이 두 청년들은 많은 일본인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마침내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달렸을 것이다. 달리면서 이 두 청년들은 무엇을 생각했을까?


마침내 그들은 승리했고 시상대에 오를 수 있었지만 그들의 가슴에는 조국 한국의 태극기(이 국기는 대부분의 나라의 그것이 혁명이든가 투쟁이라든가 승리 또는 위대한 황제의 문양인데 비해 우주와 인간과 세상 모든 것의 질서와 조화를 의미 한다)대신에 핏빛 동그라미의 일장기가 있었고,스탠드에 역시 이 핏빛 일장기가 올라 가고 있었다.

이때 이두 청년의 표정이란.... 그들은 깊게 고개를 숙인채... 한없이 부끄럽고 슬픈 얼굴을 어느 누구에게도 보이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이 뉴스를 전한 일본 제국 검열 하의 한국 신문, 동아일보(Eastasia)는 이 사진 속의 일장기를 지워버리고 만다. 이 유니크한 저항의 방법....과연 높은 정신적인
종교 유교의 민족답지 않는가!  그러나 일본 정부는 이 신문사를 폐간시키고 만다.  이 우습고도 단순하면서도 무지하기까지 한 탄압의 방법이란....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마침내 이 민족은 해방되고 강요당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무서운 또 한번의 전쟁을 치른 후, 한강의 기적(한국인들은 지구상에서 일본인들을 게을러 보이게 하는 유일한 민족이다)을 통해 일어서고 경제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그리고는 1988년 수도 서울에서 올림픽을 개최하기에 이른다. 불과 50년,,,태극기조차 가슴에 달 수 없었던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이 올림픽을 개최하고 만 것이다. 그리고 개막식, 성화를 들고 경기장에 들어선 작고 어린소녀 마라토너로 부터 성화를 이어받은 사람은 그 날 너무나도 슬프고 부끄러웠던 승리자,[손기정]이었다.  노인이 되어버린 이 슬픈 마라토너는 성화를 손에 든 채 마치 세 살 먹은 어린아이와 같이 훨훨 나는 것처럼 즐거워하지 않는가?


 


어느 연출가가 지시하지도 않았지만 역사란 이처럼 멋지고도 통쾌한 장면을 보여줄 수 있나 보다. 이 때 한국인 모두가 이 노인에게,아니 어쩌면 한국인 개개인이 서로에게 얘기할 수 없었던 빚을 갚을 수 있었다고 본다. 그리고 극적이기도 한 서울 올림픽 도중에 일본 선수단은 슬픈 소식을 들어야만 했다. 그것은 쓰러져 죽음을 기다리는 히로히토 일왕의소식....

한국인들의 종교 유교는 인간, 심지어는 죽은 조상에게까지 예를 나타내는 종교이다. 이 종교의 보이지 않는 신이 인류 역사상 기적을 일으킨 것이다.

나는 이 이야기가 여기서 마무리되길 바랬다. 이처럼 굉장한 이야기가 이대로 보존되기를 바랬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인들은 이해 할 수 없는 집념과 끈기, 그리고 폭력과 같은 단순함이 아닌 놀라운 정신력으로 그들이 50년 전 잃어버렸던 금메달을 되찾고 만 것이다.

서울 올림픽이 끝나고 4년 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에서[황]이라고 하는 [손]노인과 너무나 흡사한
외모의 젊은 마라토너가 몬주익 언덕에서 일본과 독일의 선수들을 따돌리고, 이젠 더 이상 슬프지 않은, 축제의 월계관을 따내고 만 것이다. 경기장에 태극기가 올라가자 이[황]은 기쁨의 눈물과 함께 왼쪽 가슴에 달린 태극기에 경의를 표한다. 그리고는 스탠드로 달려가 비극의 마라토너[손]에게 자신의 금메달을 선사하곤 깊은 예의로서 존경을 표한다.  [황]을 가슴에 포옹한 [손]은 말이 없다. 나는 이 이야기를 접하고는 인간에 대한 신뢰에 한없이 자랑스러움을 숨길 수 없었다.




인간이란, 이 한국인 아니 이 한국 민족처럼 폭력과 거짓과 다툼이 아니라 천천히 그러나 불굴의 의지로서 자신들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럼으로써 그것이 비극적인 눈물로 시작된 역사일지라도
환희와 고귀한 기쁨의 눈물로 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역사상 어느 민족도 보여주지 못했던 인간과 국가와 민족의 존엄을 이 한국인 아니 한국 민족이 보여주지 않는가.

도서관에 달려가라. 그리고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시상대에 선 두 한국인의 사진을 찾아라. 당신은 그 순간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인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