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읽는 한 편의 詩

회갑回甲 - 김용락

석전碩田,제임스 2022. 12. 28. 06:53

회갑回甲

- 김용락

회갑 날 아침 서울의 빈방에서 혼자 눈을 떴다
요즘 환갑이 어디 있냐고
가족에게 말은 했지만
묘하게도 마음이 조금은 허전한 듯도 했다
여느 날처럼 빈속으로 지하철 4호선을 타고 출근했다
딱 34년 전 늦가을 어느 날
갑자甲子생 아버지의 회갑을 했다
평생을 농부로 살아온
무뚝뚝하고 말이 없으시던 6남매 아버지
그해 타작을 막 끝낸 넓은 시골 마당에는
인심 좋았던 아버지의 환한 마음처럼
이웃 동네 사람들까지 많은 축하객들로 꽉 찼다
최전방 GOP 군대에서 철책을 지키던 막내아들은
부대에서 특별 휴가를 허락하지 않아 빠졌다
미혼인 큰아들과 네 명의 딸과 사위들만으로도
아버지 어머니는 벌써 흥에 겨우셨다
한마을에 살던 종형과 재종형이 중심이 되어
중짜 돈과 새깨 돼지를 잡아 고기가 풍년이 되었다
이웃 일직면 서기인 고종 동생(권정생 선생에게 구호 식량을 규정보다 더 얹어주던 착한 청년이었다)은 형, 형 하면서
오토바이를 타고 읍내에 나가 물건을 사 날랐다
첫 발령을 받은 아들의 동료 교사들이
낡은 스쿨버스를 타고 마흔 명이 넘게 들이닥쳤다
아들의 귀한 손님이라고 종형수와 고모들이
상다리가 휠 정도로 음식을 차려내기도 했다
봉화 전우익 영감은 마당 한 귀퉁이에 쪼그려 앉고
농민회 권종대 회장, 안동 분도서점 이종원 선배, 가농 회원들과
안동대 운동권 후배들도 여럿 왔다
오신다던 조탑리 권정생 선생은
사람들을 실컷 기다리게만 하고선 몸이 아파 끝내 오지 않았다
대구에서도 잔칫상을 나르려고 문청文靑 친구들이 왔다
큰누님과 둘째 누님은 가마꾼들에게 넉넉하게 돈을 걸고
셋째 누님은 그 모습을 보고 깔깔거리다가
「불효자는 웁니다」로 효도 잔치 뽕짝 분위기가 무르익자
가농 후배와 운동권 대학생들이 갑자기
북과 징과 꽹과리를 치면서
삼천만 잠들었을 때 우리는 깨어~ 「농민가」로
나 태어난 이 강산에 군인이 되어~ 「늙은 군인의 노래」로
왜 찔렀지 왜 쏘았지 트럭에 실려 어디 갔지~ 「5월가」로
잔치판의 분위기를 확 바꾸자
마당 가득 흥을 내던 동네 사람들이 서로
얼굴을 힐긋힐긋 보면서 하나둘 슬슬 자기 집으로 돌아가고
사상가에게 시집가서 아이 둘 낳고
생이별해 혼자 살던 둘째 고모님이
내 손목을 끌고 후미진 변소 뒷간에 끌고 가더니
나는 이 노래가 무슨 의미인지 안다
니가 오늘같이 좋은 날 와 이러노?
저 사람들과 학생들은 도대체 누구고?
빠르고 격앙된 목소리로 나를 나무랐다
사실 나도 상황이 어떻게 급변한 건지 잘 몰랐다
1984년이라는 신군부 독재 시대가
아버지의 회갑 잔치를 이상하게 끝내버렸다
잔치 분위기가 차갑게 변하자
전 선생을 따르던 패거리와 문청들이
돼지 뒷다리와 먹다 남은 문어 안주를 싸서
밤을 새러 안동 카톨릭 농민회관으로 가는 걸 배웅하고
돌아오는 골목길과 잎 진 감나무 가지를
가을 하현달이 환하게 비추고 있었다
아, 사랑하던 그 아버지도 가시고
큰누님과 매형 두 분과 총각이던 고종 동생도
암과 교통사고로 가시고
변소 뒷간에서 나를 나무라던 고모님도 가시고
봉화 전우익, 권정생 선생님도 가시고
야단맞던 나를 지켜보던 변소 앞
3년생 산수유는 어느덧 장목으로 자라
아름다운 꽃과 붉은 열매를 맺으며
자연의 순환을 생명의 순명으로 받아들이고
아버지 회갑 때 미혼이면서 철이 없었던 나도
사랑하는 여자와 결혼하여 어여쁜 아이를 낳아
조상 대대로 이어온 경주 김씨 문중의 가계를 잇고
드디어 오늘 회갑의 주인공이 되었다
과연 나는 죽지 않고 언제까지 영원히 살 수 있을까?
아버지와 큰누님과 셋째 넷째 매형과 동생과
내게 큰 가르침을 주신 전우익, 권정생 선생이
갔던 길을 가지 않을 수 있을까?
정말 생각해 보면 인생이란
쏜살같이 빠르고 얼마나 깊은 것인가?
또 얼마나 기쁘고 가늠하기 어렵도록 뼈가 아리게 슬픈 것인가?
또 이 우주는 얼마나 크낙한 것인가?(2018. 7.5)

- 시집 <하염없이 낮은 지붕>(천년의 시작, 2019)

* 감상 : 김용락 시인.

1959년 5월, 경북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에서 태어나 단촌초등학교를 입학하였고 6학년 때 안동 서부 초등학교로 전학, 그곳에서 졸업하였습니다. 안동 경안중, 대구 능인고를 거쳐 계명대에서 학(영문),석(국문),박사(문학박사)를 받았습니다. 대학 졸업 후, 1984년부터 안동공고 영어 교사로 교직에서 근무했으며 1984년 1월, <창작과 비평사> 신작 시집, <마침내 시인이여>가 출간되어 공식적으로 문단에 등단하였습니다. 1990년부터는 경북일보, 영남투데이, 대구일보 등에서 기자로 활동하면서 활동 영역을 넓혀나갔고 대구 CBS 시사프로인 <라디오 세상 읽기> 등 진행자로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1991년 계간 문예지 <사람의 문학>을 창간하였으며 현재는 그 발행인을 맡고 있습니다. 언론인, 평론가, 대구 북구(갑) 야권 단일 후보, 경북외국어대 교수, 희망 숲 대구교육연구소 소장,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원장 등 그에게 따라붙는 수식어가 다양합니다. 그렇지만 이 모든 다양한 직함보다, 다음과 같은 시집을 낸 시인으로 그를 기억하고 싶습니다. 시집으로 <송사리떼를 몰고 하늘로>(흐름사, 1982), <푸른별>(창작과 비평사, 1987), <기차소리를 듣고 싶다>(창작과 비평사, 1996), <시간의 흰 길>(사람, 2000), <조탑동에서 주워들은 시 같지 않은 시>(문예미학사, 2008), <산수유 나무>(문예미학사, 2016), <하염없이 낮은 지붕>(천년의 시작, 2019), <단촌역>(시선집)(문예미디어, 2004) 등이 있습니다.

용락 시인의 시는 3년 전, ‘조탑동에서 주워들은 시 같지 않은 시6’를 감상할 때 소개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나 그 땐(https://jamesbae50.tistory.com/13410717) 김 시인보다는 권정생 선생을 더 집중해서 이야기했습니다.

늘 감상하는 시를 읽으면 마치 옛날 우리네 시골집 마당에서 벌어지는 흥겨운 잔칫날을 스케치 해 놓은 한 편의 수채화를 보는 듯합니다. 왁자지껄 즐거운 웃음 소리가 가득한 잔칫날의 풍경을 사실적으로 그려낸 시입니다. 시인의 개인적인 인간 관계까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실명으로 거론되는, 알만한 사람들의 이름이 더욱더 이 시를 실감나게 만들고 있다고나 할까요.

을 구분하지 않고 있지만 이 시는 대체로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세 부분이 극명하게 대조되도록 전체적인 ‘수채화 시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회갑 날 아침 서울의 빈방에서 혼자 눈을 떴다’는 시의 첫 문장과 ‘여느 날처럼 빈속으로 지하철 4호선을 타고 출근했다’는 묘사는 이 시에서 복선(伏線) 역할을 하고 있으면서 환갑을 맞은 시인의 현재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는 첫 부분입니다.

번째 부분은 ‘딱 34년 전 늦가을 어느 날 / 갑자甲子생 아버지의 회갑을 했다’로 시작하는 문장에서부터 숨가쁘게 진술되고 있는 잔칫날의 분위기 묘사입니다. 회갑 날인데도 혼자 쓸쓸하게 일어나 출근을 해야 하는 현재 시인의 상황과는 극적인 대조가 아닐 수 없을 정도로 그 날의 분위기는 그야말로 최고조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무르익어 가던 경상도 시골 마을의 흥겨운 뽕짝 분위기 잔치 마당은, ‘가농 후배와 운동권 대학생들이 갑자기 / 북과 징과 꽹과리를 치면서’ 농민가, 오월가 등 운동권 노래를 불러제끼면서 삽시간에 싸늘해졌고 흥이 깨지고 말았습니다. 그저 평범한 잔치 마당을 묘사만 한 것만이 아니라, 그 속에서 ‘극적인 클라이막스’가 있었다는 말입니다.

실, 지금은 중부내륙 고속도로가 뚫려 교통이 편리해졌지만 그 이전만 하더라도 시인이 나고 자란 경북 의성과 봉화, 영주, 안동 등지는 오지 중의 오지였습니다. 대구의 북부 정류장에서 시외버스를 타고 한두 시간 고개를 몇 개씩 넘어야 도달할 수 있었던 전형적인 외딴 농촌이었지요. 또 전통적으로 유교적인 관습이 자리 잡고 있고 보수적인 성향이 짙은 마을에서 ‘운동권 노래’는 ‘불온하기 그지없는’ 반동분자들의 반란으로 여겨지던 때였습니다. 그런 잔치 마당에서 꽹과리와 북, 징을 쳐 대면서 운동권 가요를 불렀으니 그 긴장감은 가히 상상이 가고도 남았을 것입니다. ‘마당 가득 흥을 내던 동네 사람들이 서로 / 얼굴을 힐긋힐긋 보면서 하나둘 슬슬 자기 집으로 돌아가고’ 그 노래의 의미를 아는 둘째 고모가, 충분히 짐작이 가는 ‘혐의자’였던 시인의 손목을 이끌고 변소가 있는 뒷간 구석으로 가 ‘니가 오늘같이 좋은 날 와 이러노? / 저 사람들과 학생들은 도대체 누구고?’ 격앙된 경상도 사투리로 야단치는 장면은 이 시의 두 번째 부분이면서 극적 절정입니다.

의 마지막 부분은 문제의 그 문청 후배들과 농악 패거리 팀을 배웅하고 돌아오는 길, 높이 뜬 가을 하현달이 환하게 비추고 있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는 이후부터입니다. ‘돌아오는 골목길과 잎 진 감나무 가지를 / 가을 하현달이 환하게 비추고 있었다 /아, 사랑하던 그 아버지도 가시고 / 큰누님과 매형 두 분과 총각이던 고종 동생도 / 암과 교통사고로 가시고 / 변소 뒷간에서 나를 나무라던 고모님도 가시고 / 봉화 전우익, 권정생 선생님도 가시고’.....

‘가시고’ ‘가시고’를 반복하면서 지금까지 묘사했던 화려한 잔치 마당도, 그 많은 사람들도 결국은 다 떠나고 말았음을 노래하면서 시인은 호흡을 가다듬습니다. 그리고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아름다운 꽃과 붉은 열매를 맺으며 / 자연의 순환을 생명의 순명으로 받아들이고’ 그 자리에 서 있는 산수유나무에 시를 읽는 이의 시선을 돌리게 합니다. 요란한 운동으로 선전 선동은 하지 않았지만 아름다운 꽃과 붉은 열매로 은유되는 '전우익' '권정생'의 실명과 함께 이 시에서 이 산수유나무는 어쩌면 시인 자신의 모습이기도 하고, 또 앞으로 그 나무처럼 되어야겠다는 다짐이 담겨 있기도 한, 그래서 이 긴 글이 마침내 ‘시’가 되게 하는 ‘시적 은유’일 것입니다.

인과 비슷한 연배 또 경상도 첩첩 산골 출신,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서 우여곡절 끝에 도회지에서 공부하고 치열한 객지 생활 끝에 환갑을 맞았지만, 코로나19 때문에 말도 한마디 못 꺼내 보고 ‘특별한 생일’을 그냥 지나가야 했던 2년 전의 상황이, 저로 하여금 이 시를 100% 공감할 수 있게 합니다.

'정말 생각해 보면 인생이란 /쏜살같이 빠르고 얼마나 깊은 것인가? / 또 얼마나 기쁘고 가늠하기 어렵도록 뼈가 아리게 슬픈 것인가? / 또 이 우주는 얼마나 크낙한 것인가?' - 석전(碩田)

 

 

조탑동에서 주워들은 시 같지 않은 시 6 - 김용락

조탑동에서 주워들은 시 같지 않은 시 6 - 김용락 가만히 생각해보니 벌써 10년도 더 지난 일이다 [반달]의 윤석중 옹이 여든의 노구를 이끌고 새싹문학상을 주시겠다고 안동 조탑리 권정생 선생

jamesbae5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