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월이 오면
- 안도현
그대
구월이 오면
구월의 강가에 나가
강물이 여물어 가는 소리를 듣는지요
뒤따르는 강물이
앞서가는 강물에게
가만히 등을 토닥이며 밀어주면
앞서가는 강물이 알았다는 듯
한 번 더 몸을 뒤척이며
물결로 출렁
걸음을 옮기는 것을
그때 강둑 위로
지아비가 끌고 지어미가 미는 손수레가
저무는 인간의 마을을 향해
가는 것을
그대
구월의 강가에서 생각하는지요
강물이 저희끼리만
속삭이며 바다로 가는 것이 아니라
젖은 손이 닿는 곳마다
골고루 숨결을 나누어주는 것을
그리하여 들꽃들이 피어나
가을이 아름다워지고
우리 사랑도
강물처럼 익어가는 것을
그대
사랑이란
어찌 우리 둘만의 사랑이겠는지요
그대가 바라보는 강물이
구월 들판을 금빛으로 만들고 가듯이
사람이 사는 마을에서
사람과 더불어 몸을 부비며
우리도
모르는 남에게 남겨줄
그 무엇이 되어야 하는 것을
구월이 오면
구월의 강가에 나가
우리가 따뜻한 피로 흐르는
강물이 되어
세상을 적셔야 하는 것을
- 시집, <그대에게 가고 싶다>(푸른숲, 1991)
* 감상 : 안도현 시인.
1961년 12월 15일 경북 예천에서 태어났고 대구 대건고, 원광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습니다. 대학 졸업 후 중등학교 교사로 교직의 길에 들어섰지만, 당시 전교조 사건에 휘말리면서 6년 여 해직교사가 되었습니다. 1981년 대구매일신문과 198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서 각각 '낙동강', ‘서울로 가는 전봉준’이란 시로 당선, 등단한 이래 지금까지 100여권이 넘는 시집을 낸 대한민국에서 열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유명한 시인이 되었습니다. 1996년 시와시학 젊은 시인상, 1998년 소월시문학상 대상, 2002년 노작문학상, 2005년 이수문학상, 2007년 윤동주문학상 등을 수상하였습니다. 우석대학교를 거쳐 현재 단국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아마도 제 블로그 ‘아침에 읽는 한 편의 시’ 코너에 소개한 시인 중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시인이 안도현 시인일 듯합니다. 검색을 해 보니 ‘너에게 묻는다’, ‘겨울 숲에서’, ‘나를 열받게 하는 것들’, ‘그리운 당신이 오신다니’, ‘재테크’ 등을 그동안 감상하고 그 감상문을 블로그에 올렸더군요.
오늘 감상하는 시는 제목으로 봐선 반드시 9월이 오기 전이나 아니면 9월 초에는 읽어야 제 맛을 느낄 수 있을 듯합니다. 그러나 꼭 제목이 ‘구월이 오면’이라고 해서 9월에만 읽어야 하는 법도 없고 또 제목에 얽매일 이유도 없을 것입니다. 오히려 이 시는 그런 계절의 시기를 초월하여 읽는 것이 훨씬 더 폭넓고 깊은 맛을 느낄 수 있을 듯 합니다.
이 시에서 시인은 청각과 시각을 자극하는 시어들을 각 연에 조화롭게 배치하는 ‘이미지 연상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1연에서 ‘강물이 여물어 가는 소리(청각)’- ‘물결로 출렁 걸음을 옮기는 것(시각)’ - 2연의 ‘저희들끼리 속삭이며 바다로 가는 것(청각)’,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모두를 아우르는 ‘사랑’과 ‘따뜻한 피로 흐르는 강물’로 이어지는 이미지 연상이 청각과 시각적인 이미지를 번갈아 가며 배치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호흡을 흐트러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따라가게 한다는 말입니다. 유유하게 흘러가는 강을 바라보면서 시인은 ‘강물이 여물어 가는 소리(청각)’ 즉, 뒤 따르는 강물이 앞서가는 강물에게 등을 토닥이며 밀어주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그런데 그 청각적인 이미지는 이내 ‘몸을 뒤척이며 물결로 출렁, 걸음을 옮기는’ 강물의 모습(시각)으로 전환됩니다. 역시 다음 연에서도 같은 구조가 반복이 됩니다. ‘강물이 저희끼리만 속삭이며 바다로 가는 것’(청각)이 아니라 ‘젖은 손이 닿는 곳마다 아름다운 가을 꽃들이 피는’ 평화로운 강가의 정경(시각)으로 이어지고 ‘우리 사랑’도 강물처럼 익어가고 여물어 간다고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연에서 ‘우리들의 사랑‘은 그 의미가 더욱 확장되어 구월의 온통 넓은 들판이 강물 하나로 금빛 세계가 되었듯이, 이 마을 저 마을 사람들이 더불어 살아가는 사랑의 공동체가 되어 따뜻한 피로 흐르는 세상, '인간의 마을, 사람들이 사는 마을'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이쯤 되면, 이 시가 꼭 9월에만 읽어야 할 이유는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구월이 오면‘이라는 시의 제목이 왜 아라비아 숫자 ’9월‘이 아니고 ’구월‘인 줄을 알게 될 것입니다. 이 시의 ’구월‘은 격랑의 파도를 몰고 온 그 여름의 ’그 미친 듯한 태풍‘이 ’지나간 후‘, 즉 '내 인생의 구월'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제 격입니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세월이 지나고 이제 평온한 시간이 찾아 온 때이기도 하고, 누군가를 불구대천지 원수로 생각하고 미워하고 질투하면서 마음이 요동쳤던 분노의 시기를 지나 이제는 차분히 모든 것을 포용하고 받아들일 준비가 된 때이기도 합니다. 구월이 오면 골고루 숨결을 나누어 주는 것, 사람과 더불어 몸을 부비며 남에게 남겨 줄 그 무엇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하는 성찰의 시간이기도 하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9월이 왔다/ 산구절초 아홉 마디 위에 꽃이 사뿐히 얹혀 있었다/ 수로를 따라 물이 반짝이며 흘러간다/ 부질없는 짓이겠지만/ 누군지 모를 당신들 생각으로/ 꼬박 하루를 다 보냈다/ 햇살 곳곳에 어제 없던 그늘이 박혀 있었다/이맘때부터 왜 물은 깊어질까’로 시작되는 고영민 시인의 ‘9월’이라는 제목의 시를, 안도현 시인이 그의 책 <이 시를 그때 읽었더라면>에 소개하면서 마치 한 편의 시같은 이런 멘트를 달았습니다.
‘그리고 9월에는 구절초와 쑥부쟁이를 구별해서 보는 눈을 갖게 하소서. 강둑에 앉아 햇살에 반짝이는 강물을 삼십 분만 보게 하소서. 하늘이 산의 능선을 면도칼로 오린 것처럼 또렷해지는 날을 자주 만나게 하소서. 그리하여 9월에는 들과 나무와 저녁과 밤과 당신과 내가 모두 하나로 이어져 있음을 알게 하소서'라고.
시나브로 성찰의 시간, 사색의 계절, 구월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굳이 김현승 시인의 시, ‘가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를 일부러 다시 꺼내 읽지 않더라도 ‘구월의 강가에 나가/ 우리가 따뜻한 피로 흐르는 / 강물이 되어/ 세상을 적셔야’ 되겠다는 다짐과 기도가 저절로 되뇌어지는 9월의 아침입니다. - 석전(碩田)
'아침에 읽는 한 편의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화상 - 공광규 (0) | 2020.09.23 |
---|---|
좌우에 대한 숙고 - 정한용 (0) | 2020.09.16 |
사무원 - 김기택 / 사직서 쓰는 아침 - 전윤호 (0) | 2020.09.02 |
네비게이션 / 꿈의 비단길 - 홍종빈 (0) | 2020.08.26 |
벌초 / 터미널 - 이홍섭 (0) | 202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