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아침에
- 김종길
매양 추위 속에
해는 가고 오는 거지만
새해는 그런대로 따스하게 맞을 일이다.
얼음장 밑에서도 고기가 숨쉬고
파릇한 미나리 싹이
봄날을 꿈꾸듯
새해는 참고
꿈도 좀 가지고 맞을 일이다.
오늘 아침
따뜻한 한 잔 술과
한 그릇 국을 앞에 하였거든
그것만으로도 푸지고
고마운 것이라 생각하라.
세상은
험난하고 각박하다지만
그러나 세상은 살 만한 곳,
한 살 나이를 더한 만큼
좀더 착하고 슬기로울 것을 생각하라.
아무리 매운 추위 속에
한 해가 가고
또 올지라도
어린것들 잇몸에 돋아나는
고운 이빨을 보듯
새해는 그렇게 맞을 일이다.
- 고대신문(1961)에 처음 게재, 김종길 시집 <성탄제>(삼애사, 1969)
* 감상 : 김종길 시인, 영문학자.
1926년 11월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습니다. 본명은 김치규(金致逵)이며 '김종길'은 그의 아호입니다. 대구 사범학교와 혜화전문학교, 그리고 고려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했으며, 대학 졸업 후 대구공고 교사, 경북대학교 강사등을 거쳐 1959년 고려대학교 교수로 부임, 34년 간을 근무하다가 1992년 정년퇴임하였습니다. 지난 2017년 4월, 향년 92세의 나이로 별세하였습니다.
194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서 시 ‘문(門)’이 입선되어 당시 주필이었던 정지용 시인으로부터 상을 받고 등단했습니다. 고려대 영문학과에 재학할 때 지도교수였던 이인수 교수(1916~1950)를 만난 인연 때문에 T.S. 엘리엇의 ‘황무지’를 번역하기도 했습니다. 70년에 가까운 긴 시력(詩歷)을 지녔지만 작품집은 그리 많지 않은 과작(寡作)의 시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집과 시선집으로 <성탄제>(삼애사, 1969), <하회에서>(민음사, 1977), <황사현상>(민음사, 1986), <천지현황>(미래사, 1991), <달맞이꽃>(민음사, 1997), <해가 많이 짧아졌다>(솔, 2004), <해거름 이삭줍기>(현대문학, 2008), <그것들>(서정시학, 2011), <솔개>(시인생각, 2013)등이 있습니다. 한국시인협회장, 고려대 문과대학장,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등을 역임하였으며 목월문학상, 인촌상, 청마문학상, 육사시문학상, 만해대상 등을 수상하였고 국민훈장 동백장과 은관문화훈장을 받았습니다.
두 돌이 지나 어머니를 여의고 조모와 증조모의 손에서 자란 시인은 92세에 세상을 떠나기까지 특별하게 뛰어나거나 또 튀는 삶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직분에 충실하려고 했던 평범하고 우직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우주 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하나로 아우르며 그 안에서 유한한 삶의 시간들을 반추하는 그런 시, 그리고 고전적인 감각과 유가적(儒 家的)인 전통이 스며있는 작품들이 주종을 이루는 것은, 어릴 적부터 증조부, 증조모, 조모 등 세 노인 밑에서 한학을 자연스럽게 접하며 내공이 탄탄하게 쌓인 연유도 있을 것입니다.
처음 이 시가 발표된 해가 1961년도 <고대신문> 지상(紙上)이었으니, 그의 나이 35세 무렵에 쓴 시입니다. 그런데도 이 시를 읽으면 마치 그가 90인생을 다 산 후에 읊은 노년의 시같이 느껴지는, 인생을 바라보는 혜안이 철철 넘치는 시입니다.
이 시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설날 아침에 새해를 축하하는 희망의 메시지이며 덕담으로 딱 어울리는 시입니다. 해마다 설날 아침이면 제가 슬쩍 꺼내서 읽어 보는 시이기도 합니다. 추운 겨울의 혹독함 속에서도 만물의 생리를 묵상하고, 새봄을 기다리는 겸허한 시인의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두꺼운 찬 얼음장 밑에서도 살아 움직이는 고기며, 꽁꽁 언 미나리꽝에서도 새봄에 새롭게 싹이 나는 순환의 자연 원리를 시인은 노래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매서운 추위 속에 한 해가 가고 또 올지라도 절망하지 않고 세상은 살 만한 곳이라는 믿음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어린 것들 잇몸에서 새 이빨이 돋는 것처럼, 또 늙은이들은 사라져 가더라도 삶의 순환은 또 어김없이 그렇게 이어져갈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설날 아침에 읽을 그의 또 다른 시 하나를 소개합니다. 50년이 지나서 그의 나이 팔순이 훨씬 넘은 후에 새해를 맞으며 그가 설날 아침에 다시 들려 주는 덕담이자 연하장의 인사 같은 이 시가 처음 읽었던 시와 여전히 똑같은 그낌이 드는 것이 참으로 희한할 뿐입니다.
우리네 새해 아침은
- 김종길
우리네 새해 아침은
눈도 매화 송이로 이마에 와 닿고,
추위도 맑은 향기로 옷깃에 스며든다.
우리네 새해 아침은
푸른 솔가지 위에 학 한 마리 앉혀놓고,
붉은 해가 치솟는 달력 그림만큼이나 의젓하다.
객지에 나가 살던 사람들 돌아오고,
돌아간 조상들도 제상 머리에 나앉는,
향불 피는 냄새로 한 해가 시작되는 아침.
무슨 근심, 무슨 슬픔, 무슨 미움, 무슨 사특함,
언짢은 건, 누추한 건, 모조리 불살르고,
선의와 평화로 가득한 환한 얼굴을 들자.
어린이, 젊은이는 마냥 신나고,
어른은 희망에 부풀어 새로 힘이 솟고,
늙은이는 그들을 바라보며 흐뭇하기만 하면 되는 것.
괴롭고 가난했던 옛날은
이젠 차라리 한갓 그리운 추억 -
새해 아침은 앞날을 내다보며 오붓한 꿈을 설계하라.
묵고 때 묻은 것은
묵은 해와 함께 보내고,
새해는 새롭고 깨끗한 것만을 있게 하라.
- 시집, <해거름 이삭줍기>(현대문학, 2008)
그의 시편들을 읽다 보면 영화 '흐르는 강물처럼'이 생각나는 것은 사람이 태어나고 자람, 또 늙음과 죽음이 그저 예사로운 일상으로 잔잔하게 그려진 '문학적 은유'가 유사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 영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해하려는 것보다 사랑하는 것'이라는 메세지였는데, 마치 김종길 시인의 시를 읽을 때에도 그 화두가 그대로 전달되어져 옵니다.
임인년(壬寅年) 한 해는 '무슨 근심, 무슨 슬픔, 무슨 미움, 무슨 사특함, / 언짢은 건, 누추한 건, 모조리 불살르고, / 선의와 평화로 가득한 환한 얼굴을 들'기를 응원합니다. 또 뜻밖의 행운보다는 '어린것들 잇몸에 돋아나는 / 고운 이빨을 보듯' 평범한 일상 속에서 소소한 행복들이 물 흐르듯 넘치길 두 손 모아 간절히 소원합니다. - 서설(瑞雪)이 내린 임인년(壬寅年) 설날 아침, 연남동에서 석전(碩田) 合掌
'아침에 읽는 한 편의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의 눈동자를 가진 소녀 - 크리스 디 버그 (0) | 2022.02.16 |
---|---|
나목 - 신경림 (0) | 2022.02.09 |
고쳐 말했더니 / 지우개 엄마 - 오은영 (0) | 2022.01.26 |
고라니에게 몸살을 옮다 - 박승민 (0) | 2022.01.19 |
눈보라 / 바다 - 이흔복 (0) | 2022.01.12 |